[2024년 3월 인사이트 피커] 국내 플랫폼 TOP4 '네카인유'는 어떻게 변하고 있을까?



#0014
2024년 3월호


마케팅을 비롯하여 매출과 연관된 업무를 하고 있는 모든 분이 관심이 큰 주제는 바로 '빅 플랫폼'이죠. 플랫폼이 클 수록 이용자가 많고, 그 이용자 속에는 우리의 고객도 있기 때문인데요. 그래서 광고를 비롯한 마케팅 활동도 이 '빅 플랫폼'에서 가장 활발히 이뤄지고 있어, 빅 플랫폼들의 변화를 캐치하고 있으면 좋아요!🧐

이번 3월 인사이트 피커에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영향력이 4개 플랫폼 '네이버, 카카오, 인스타그램, 유튜브'에 대한 데이터와 사업 및 서비스 변화를 짚었습니다.

TOP4 플랫폼 국내 설치율
 
다이티가 보유한 앱 데이터를 통해 TOP 4 플랫폼의 설치율을 확인했어요. (안드로이드 기준, 약 2천 만 유저)

설치율 순위는 카카오톡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순으로 나타났으며, 
인스타그램을 제외한 3개 플랫폼의 설치율은 87% 이상으로 우리나라에서 안드로이드를 이용하는 유저들 대부분이 이 플랫폼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아래 4개 앱 중 1개 이상 설치한 유저의 비중은 얼마나 될까요? 
98.72%로 모바일 기기를 보유한 유저 대부분이 이 플랫폼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TOP4 플랫폼 남녀 비율
 
4개 플랫폼을 이용하는 유저의 남녀 비율이에요.
플랫폼 모두 남성 비율이 52~55%로 더 높았으며, '인스타그램'의 여성 비율이 48%로 4개 플랫폼 중 가장 높았어요.

참고로 우리나라 인구 성비는 50:50 (남성 : 2,587.7만 명 / 여성 : 2587.4만 명) 으로, 실제 인구 비율 보다 약간의 차이가 있었어요.


TOP4 플랫폼 연령대 비율
 
4개 플랫폼을 설치한 유저들의 연령대 비중을 살펴봤습니다.

설치율 87%가 넘는 카카오톡, 유튜브, 네이버의 연령 비중은 거의 비슷했으며, 가장 비율이 높은 연령대가 40~50대로 절반에 가까운 비중이었어요. (※2024년 우리나라 인구의 평균연령은 45세로, 10년전보다 5세 많아졌어요.)

인스타그램 설치 유저 역시 40~50 비중이 가장 컸지만, 20~30대 비율이 35%로, 다른 플랫폼 대비 약 10% P 높았습니다.

✨ 다이티 앱 데이터는 빅 플랫폼 3 (네이버, 카카오, 인스타그램)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여기에서 확인해 주세요!

거부감 없이 챙겨보게 되는
카카오톡채널 마케팅 3
 
작년 11월 카카오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카카오톡 사용자는 평균 23개 카카오톡채널을 구독한다고 해요, 또한 채널을 통해 브랜드 소식, 채널 친구들을 위한 혜택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채널을 개설한 브랜드 운영자 입장에선 중요한 매체가 되었죠.

이번 시간엔 고객과 관계형성뿐만 아니라 매출에도 도움을 주는 카카오톡채널 마케팅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게요.


무료 인사이트 리포트와 최신 마케팅 트렌드 자료를 받아보고 싶다면

다이티 뉴스레터를 구독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