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을 비롯하여 매출과 연관된 업무를 하고 있는 모든 분이 관심이 큰 주제는 바로 '빅 플랫폼'이죠. 플랫폼이 클 수록 이용자가 많고, 그 이용자 속에는 우리의 고객도 있기 때문인데요. 그래서 광고를 비롯한 마케팅 활동도 이 '빅 플랫폼'에서 가장 활발히 이뤄지고 있어, 빅 플랫폼들의 변화를 캐치하고 있으면 좋아요!🧐
이번 3월 인사이트 피커에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영향력이 4개 플랫폼 '네이버, 카카오, 인스타그램, 유튜브'에 대한 데이터와 사업 및 서비스 변화를 짚었습니다.
TOP4 플랫폼 국내 설치율
다이티가 보유한 앱 데이터를 통해 TOP 4 플랫폼의 설치율을 확인했어요. (안드로이드 기준, 약 2천 만 유저)
설치율 순위는 카카오톡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순으로 나타났으며,
인스타그램을 제외한 3개 플랫폼의 설치율은 87% 이상으로 우리나라에서 안드로이드를 이용하는 유저들 대부분이 이 플랫폼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아래 4개 앱 중 1개 이상 설치한 유저의 비중은 얼마나 될까요?
98.72%로 모바일 기기를 보유한 유저 대부분이 이 플랫폼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TOP4 플랫폼 남녀 비율
4개 플랫폼을 이용하는 유저의 남녀 비율이에요.
플랫폼 모두 남성 비율이 52~55%로 더 높았으며, '인스타그램'의 여성 비율이 48%로 4개 플랫폼 중 가장 높았어요.
참고로 우리나라 인구 성비는 50:50 (남성 : 2,587.7만 명 / 여성 : 2587.4만 명) 으로, 실제 인구 비율 보다 약간의 차이가 있었어요.
TOP4 플랫폼 연령대 비율
4개 플랫폼을 설치한 유저들의 연령대 비중을 살펴봤습니다.
설치율 87%가 넘는 카카오톡, 유튜브, 네이버의 연령 비중은 거의 비슷했으며, 가장 비율이 높은 연령대가 40~50대로 절반에 가까운 비중이었어요. (※2024년 우리나라 인구의 평균연령은 45세로, 10년전보다 5세 많아졌어요.)
인스타그램 설치 유저 역시 40~50 비중이 가장 컸지만, 20~30대 비율이 35%로, 다른 플랫폼 대비 약 10% P 높았습니다.
다이티 뉴스레터를 구독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