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비즈니스 피커] 연 20조 웨딩 시장? 놓치면 안 될 데이터 / 마케팅 정보 모음



#0015
2024년 3월호


결혼식 날짜에도 성수기와 비수기가 존재하는데요. 너무 춥지도 덥지도 않은 4~5월은 결혼의 극성수기입니다. 한편, 이번 3월 19일에 발표된 통계청의 '2023년 혼인 이혼 통계'에 따르면, 12년간 지속적으로 떨어지던 혼인 건수가 1%지만 반등했다고 하죠. 

이전과 비교했을 때 결혼 인구는 많이 줄어들었다지만 여전히 웨딩 산업은 20조 원 규모의 큰 서비스 시장인데요. 그래서 이번 피커에서는 이 달의 업종을 <결혼(웨딩)>으로 정하고 다양한 트렌드 데이터와 관련 산업의 마케팅을 살펴봤습니다. 지금 확인해 보세요!
결혼/웨딩 키워드 유입 추이
 
최근 1년의 '결혼/웨딩' 키워드 유입 수 추이를 살펴봤어요.

예상한 것처럼 결혼 성수기인 4~5월이 가장 높은 추이를 보인 후 무더위가 시작되는 6월부터는 검색량도 크게 하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

현재는 3월임에도 최근 큰 상승세가 보이지 않고 있지만, 성수기인 4월이 곧 시작되는 만큼 결혼/웨딩 연관 업종이라면, 이번 뉴스레터를 하나하나 살펴보시고 마케팅을 준비해 보세요.😃


결혼/웨딩 연관 키워드 순위
 

최근 5개월 동안 수집된 결혼/웨딩 연관 키워드의 유입량 순위에요.


결혼 준비할 때 가장 많이 탐색하는 항목은 '웨딩홀/식장'으로 다른 키워드보다   압도적으로 유입량이 많았어요. 날짜와 시간, 위치까지 고려해야 하다 보니 결혼 준비에 가장 공을 들이는 항목으로 보여요.


그다음으로는 '사진/촬영'과 '밴드/링/반지' '드레스'가 뒤를 이었고요. 순위에는  '리마인드'처럼 예비 신랑 & 신부와 연관된 키워드가 아닌 부부가 결혼기념일을 위한 이벤트 탐색 활동도 많은 것을 알 수 있었어요.  



결혼 관련 앱 남녀 비율
 
결혼과 관련된 앱은 '결혼 준비'와 '결혼 정보(결혼 전제 만남 앱)' 2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요. 이혼과 재혼이 증가하면서 재혼 전용 결혼 정보 앱도 늘고 있어 3가지로 카테고리를 나눠 설치자 데이터를 분석했어요.

'결혼 준비' 앱의 설치자는 남녀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난 데 비해, '결혼 정보 앱'은 남성 비율이 75% 이상으로 남성 설치자가 더 많았는데요. 특히 재혼 정보 앱(77%)보다 결혼 정보 앱(85%)이 특히 더 높았어요.


결혼 관련 앱 연령별 비율
 
결혼 관련 앱별 사용자의 연령대 데이터에요.

'결혼 준비' 앱은 절반 이상의 설치자가 30~39세로 나타나, 결혼을 준비하는 적령기가 30대인 것을 알 수 있어요.

'결혼 정보' 앱은 결혼 준비 앱보다 연령대가 더 높았는데요. '결혼 정보' 앱 설치자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연령대는 40~44세와 35~39세로 확인됐고요, '재혼 정보' 앱은 50대 이상 비율이 70%에 가까웠어요.

👰🤵 '여행/가구/가전/이사/쥬얼리' 업종이라면
결혼 준비 앱 또는 결혼 정보 앱을 설치한 유저에게 광고를 진행해 보세요!


무료 인사이트 리포트와 최신 마케팅 트렌드 자료를 받아보고 싶다면

다이티 뉴스레터를 구독해보세요!